[KBS 광주] [앵커]
막대한 피해를 낸 영남 산불은, 이제서야 불탄 건물 철거가 시작되는 등 복구까지는 긴 세월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산불의 원인이 되는 농어촌 불법 소각은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 과연, 주민들의 인식만이 문제일까요?
찾아가는K 김대영 뉴스캐스터가 현장을 확인해 봤습니다.
[리포트]
최악의 피해를 낸 영남 산불.
전국적으로 경각심이 커지는 와중에도 농촌의 불법 소각은 곳곳에서 이어졌습니다.
최근 누군가 논에 불을 태운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영농철인 요즘, 농촌 지역에서 쉽게
부산저축은행 사건 찾아볼 수 있는 모습인데요.
왜 이렇게 논밭두렁과 쓰레기 태우는 행위가 없어지지 않는지, 그 이유를 직접 알아보겠습니다.
찾아가는K 취재진이 돌아본 전남 시골마을.
여기저기서 불탄 흔적이 있는 논밭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밭에) 영양분이 좀 도움이 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자소서 항목 까봐, 저는 태우거든요. 바람 없는 날, 태우기 적당한 날 태워요."]
하지만, 불이 날 위험을 알면서도 태우는 이들도 발견됩니다.
이들은 뭘 태우는 걸까.
곳곳에서 눈에 띈 건 흙이 묻은 작물 보호용 비닐, 이른바 '멀칭 비닐'입니다.
밭농사의 필수품인 만큼 배출량도 많은 상황.
소자본창업 감자밭 한편에 쓰고 난 비닐이 쌓여 있기도 합니다.
가장 손쉬운 처리 방법은 태우는 겁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부산물은 주로 많이 태워버리죠. 밭에서 태워요. (그 이유가 있을까요?) 다음에 (농사를 하려니까) 갖고 오기는 힘들고, 산 밑으로 가지는 못하고 (그러니까) 밭 가운데서 태워야죠."]
국고채금리 상당수의 마을에는 이런 폐비닐을 모아서 6개월마다 수거하는 공동 집하장이 있습니다.
폐비닐 소각을 예방하기 위해 수거해 온 농민 등에게 보상금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남 읍면 4분의 1 가량은 이런 집하장이 없어, 영농 폐기물 처리가 곤란한 실정입니다.
실제 2023년 기준 광주·전
예금이자계산 남에서 발생한 폐비닐은 4만 7천 톤, 이 가운데 30% 가량은 수거되지 않고 있습니다.
[박성원/농민/집하장 미설치 : "2년에 한 번씩 (수거) 기계 부르면 집게로 집어가버려요. 공짜로 가져가라고 제발 좀, 어디에다 (공동으로) 폐비닐 모았다가 버리면 좋겠는데…."]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부직포 등의 영농 자재는 더 처리가 어렵습니다.
수거 보상금도 없고, 집하장에도 내놓을 수 없어 개인이 종량제 봉투 등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양이 많고 부피가 큰 쓰레기들을 농민들이 태우는 이유입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나뭇가지나 고춧대 같은 폐기물의 경우 파쇄기로 잘게 부숴 퇴비로 사용하라고도 권고합니다.
실제 자치단체마다 영농부산물 파쇄기를 무료로 빌려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문젭니다.
농민 1만 7천여 명이 있는 여수의 경우 파쇄기는 단 3대.
무안도 5대, 진도는 6대밖에 없습니다.
[마을 주민/음성변조 : "이번에 산불 사태 이후 (파쇄기) 지원해 준다고 하는데 몇 대 없다고 하고 그냥 자체적으로 태워버리고…."]
[곽준열/전남도 자원순환팀장 : "재활용이 되지 않아 수거 보상금이 되지 않는 품목들을 국가 차원에서 어떤 수거 보상금 제도를 확대 운영한다든가 국가의 재정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입니다."]
논밭두렁·쓰레기 소각이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위반하면 과태료를 물리겠다.
수십 년 동안 반복한 말만으로는 진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왜 불법 소각이 끊이지 않는지,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현장에서 제대로 된 답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찾아가는K였습니다.
KBS 지역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