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개혁 공약 발표
R&D 예산 확대 계획도
‘경제 대통령’ 이미지 굳히기
개인투자자·중도층에 구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1일 ‘코스피 5000시대’ 실현을 약속하며 소액주주 권리 보장을 한층 강화한 상법 개정안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윤석열 정부가 축소한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확대해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등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주말 첫 순회경선에서 90%에 가까운 득표율을 얻으며 대세론을 굳힌 이 후보는 자본시장 개혁 공약을 발표하며 ‘경제 대통령’ 이미지 굳히기에 나섰다.
이 후보는 이날 페이
개인회생비용 스북에 “회복과 성장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 주가지수 5000시대를 열겠다”며 주식시장 활성화 공약을 발표했다. 그는 “국민 대부분의 자산이 부동산인 현실을 바꿔야 한다”며 “자본시장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그러면서 정부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후 국회 재표결에서 폐기된 상법 개정안을 재추진
덕송천 하겠다고 했다. 그는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이라며 기존 상법 개정안에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선출 내용을 포함하겠다고 했다. 주가조작 세력에 대한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쪼개기 상장’ 시 신주 우선 배정, 자사주 소각 제도화 등도 공약으로 제시했다.
이 후보는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주
대부업등록협회 식시장 활성화 간담회에서도 스스로를 ‘휴면 개미’라고 칭하며 상법 개정 의지를 강조했다. 그는 “‘국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황당한 말까지 생길 정도”라며 “(상법 개정을) 최대한 빠른 시간 내 다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상법 개정에 반대하고 있는 재계를 향해선 “집안에서 혜택 보고 규칙 안 지켜 부당한 이익 얻으면서 어떻게 세계적
죄인취급 기업과 경쟁을 하겠다는 것이냐”며 “힘 있는 특정 소수의 저항”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행보는 1400만명에 달하는 개인투자자와 중도층 표심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본선 진출이 사실상 확정된 만큼 경제 대통령 이미지를 굳혀 외연 확장을 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후보는 2022년 대선에서도 코스피 5000시대를 공언하며 국내 주식시장 저
기업은행 전세자금대출조건 평가 해소·소액주주 보호를 주장한 바 있다.
이 후보는 이날 과학기술의날을 맞아 R&D 예산 확대 등 관련 분야 정책 공약도 함께 발표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의 R&D 축소는 국가 미래를 스스로 거부한 셈”이라며 AI,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백신, 수소, 미래차 등 전략 기술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다른 경선 후보들도 정책 행보를 이어갔다. 1·2차 경선 합산 득표율 5.27%로 2위를 기록한 김동연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한국여성정치연구소가 주최한 ‘모두의 성평등, 다시 만난 세계’ 집담회에 참석했다. 경선에서 유일하게 성평등·여성 정책을 전면에 내세우며 여성 유권자층 공략에 나선 모양새다.
누적 득표율 5.17%로 3위를 기록 중인 김경수 후보는 국회에서 정치·외교·안보 분야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청 폐지, 통일부의 평화·협력부 전환, 전 국민 중위소득 40%의 최저 소득 보장 등을 공약했다. 대선 결선투표제와 연합공천제 도입도 약속했다.
이유진 기자 yjleee@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