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서울 최대 규모 재개발 사업지로 꼽히는 한남3구역 철거가 시작됐다. 2017년 재개발구역에서 해제됐던 한남1구역이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후보지로 지정되는 등 한남동 일대 재개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일 용산구에 따르면 구는 지난달 26일 위험건축물1개 동을 철거하면서 관내 최대 재정비촉진사업인 한남3구역의 본격적인 공사 절차에 돌입했다. 2003년 뉴타운 지구 지정 후 22년만이다. 용산구는 해빙기 안전사고에 대비해 붕괴 위험이 큰 위험건축물에 대해 우선 철거하고 오는 3월부터 재개발 구역 내 출 회생 입자 통제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구역 경계부 안전펜스 설치에 착수한다. 8600여 세대 중 99.3%가 이주를 마쳤으며 미이주한 60세대도 올해 상반기 중 이주를 완료할 예정이다. 지하 7층~지상 22층 127개 동, 5988세대 단지로 거듭난다.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아 '디에이치 한남'이 조성된다. 2026년 착공하면 2029년 입주할 은퇴자금계산기 전망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마지막 한 가구까지 안전하게 이주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겠다”며 “철거부터 준공까지 원활한 사업 진행으로 주민들이 하루빨리 돌아올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남3구역이 뉴타운 지정 후 22년만에 철거를 시작한 가운데 한남1구역 신속통합기획 재개발까지 추진되며 관심을 높이고 있다. 신속통합기획은 정비계획 수립단계에서 서울시가 공공성과 사업성의 균형을 이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신속한 사업추진을 지원하는 공공지원계획이다. 일반적으로 평균 5 카드영업 년이 걸리는 신규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 기간이 2년까지 줄어든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달 27일 제1차 재개발 후보지 선정위원회를 열고 용산구 이태원동 730일대(한남1구역) 등 9곳을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추진구역으로 선정했다. 시는 이곳이 한남재정비촉진지구 한남1촉진구역에서 해제된 노후불량 주택지이며 후보지 선정으로 주 삼성카드연체기록 변 한남재정비촉진사업과 함께 정주환경 개선에 상승효과를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남1구역은 2009년 지정돼 2011년 조합설립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았으나, 일부 주민들이 재개발을 강하게 반대하는 등 갈등이 끊이지 않으면서 2017년 정비구역에서 해제됐고 조합설립추진위 승인도 취소됐다. 한남2~5구역에서 재개발이 진행 중이어서 일대 사업이 완료되면 1만 2000가구가 넘는 ‘미니 신도시’급 거주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한남4·5구역을 중심으로 사업에 속도가 붙는 가운데 한남1구역 신통기획까지 확정될 경우 한남동 일대 재개발 기대감은 더 커질 전망이다. 한남4구역은 최근 삼성물산을 시공사로 선정했다. 한남5구역은 지난해 하반기 진행된 시공사 선정 결과 1·2차 모두 DL이앤씨만 단독으로 입찰해 유찰됐다. 한남5구역은 최근 조합장을 비롯한 새 집행부를 새로 뽑으면서 사업 진행 속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집슐랭 연재’ 구독을 하시면 부동산 시장 및 재테크와 관련한 유익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생하게 전달 받으실 수 있습니다. 김창영 기자 kcy@sedaily.com